-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온라인 강의 수익화 전략디지털 노마드 2025. 7. 20. 15:00
디지털 노마드라고 하면 대부분 리모트 워크나 프리랜서 일만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최근에는 온라인 강의 수익화가 새로운 디지털 노마드의 수익원으로 주목받고 있다.특히 디지털 노마드 생활을 오래 한 사람들은
- 프리랜서로 일한 경험
- 해외 생활 노하우
- 콘텐츠 제작 스킬
을 강의 콘텐츠로 만들어 수익을 올릴 수 있다.
게다가 온라인 강의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대표적 수익모델이다.
여행 중에도, 새로운 도시에서 일하면서도 한 번 만든 강의로 계속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이번 글에서는 디지털 노마드가 온라인 강의로 수익화하는 방법과, 어떤 플랫폼을 선택해야 유리한지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왜 디지털 노마드에게 온라인 강의가 유리한가?
① 장소 제한이 없다
어디서든 영상을 촬영하고, 어디서든 강의를 판매할 수 있다.
발리, 치앙마이, 리스본, 서울 어디서든 동일하게 가능하다.② 한번 만들어 놓으면 반복 판매 가능
시간을 팔지 않고, 콘텐츠를 판다.
디지털 노마드 생활을 하면서 ‘노동시간=수익’ 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다.③ 디지털 노마드의 경험 자체가 강의 콘텐츠가 된다
- 해외 프리랜서 노하우
- 리모트 협업 방법
- 디지털 노마드 생활 영어 강의
- 디지털 마케팅 실전 노하우
- 디지털 노마드 자기계발 루틴
이런 경험들은 초보자들에게 유용한 강의 주제가 된다.
온라인 강의 수익화의 기본 구조
단계 설명 강의 기획 주제 선정, 커리큘럼 구성 콘텐츠 제작 촬영, 편집, 자료 준비 플랫폼 등록 유료 강의로 업로드 마케팅 SNS, 블로그, 유튜브 등으로 홍보 판매 후 수익 발생 반복 판매로 수익 구조 확보 강의 플랫폼 비교 – 어디에 올릴까?
디지털 노마드가 활용할 수 있는 국내·해외 강의 플랫폼을 비교해 보자.
플랫폼 특징 수익 분배 추천 대상 클래스101 국내 대표 온라인 클래스 판매가의 50~60% 제공 한국어 시장 공략 탈잉 실시간+녹화 강의 가능 40~60% 수익 한국 기반, 실시간 강의도 하고 싶을 때 인프런 IT·마케팅 강의에 강점 최대 70% 수익 (직접 판매시 90%) 기술·마케팅 분야 유데미(Udemy) 글로벌 마켓, 전세계 판매 자체 마케팅 시 97%, 유데미 마케팅시 37% 영어 강의, 해외시장 티처블(Teachable) 자체 강의 플랫폼 제작 100% 수익, 결제 수수료 별도 자체 브랜딩 하고 싶을 때 스킬쉐어(Skillshare) 구독 기반, 로열티 지급 조회수 기반 지급 노출 위주, 수익보단 브랜딩 구글 유튜브 멤버십/유료 강의 유튜브 내 유료 콘텐츠 판매 수익의 70% 영상 기반 마케팅 강의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온라인 강의 수익화 전략
한국 시장에 판매하고 싶다면?
- 클래스101, 탈잉, 인프런 추천
- 한글로 제작 → 한국 고객 대상
- 쉽게 홍보하고 수익화 가능
- 단점: 수수료가 높음 (최대 50% 이상)
글로벌 시장 노리려면?
- 유데미(Udemy) → 영어 강의, 자동 번역 자막 가능
- 스킬쉐어 → 조회수 기반 로열티
- 티처블(Teachable) → 자체 강의 홈페이지 제작 (100% 수익 가능)
나만의 사이트에서 강의하고 싶다면?
- Notion + Gumroad 조합도 가능
- 강의 자료를 노션에 정리하고, 결제는 Gumroad 활용
- 장점: 수수료 적음, 단점: 트래픽 확보는 스스로 해야 함
강의 콘텐츠 기획 – 디지털 노마드 강의는 무엇을 팔 수 있나?
판매 가능한 디지털 노마드 강의 예시
주제 설명 디지털 노마드 시작 가이드 비자, 숙소, 경비, 직업 추천 등 프리랜서 해외 클라이언트 영업법 콜드 메일, 포트폴리오 전략 온라인 생산성 도구 사용법 Notion, Slack, Trello 활용법 AI 툴 업무 자동화 ChatGPT, Canva AI 활용 노마드 브랜딩 전략 SNS 운영법, 퍼스널 브랜딩 강의 제작 실전 팁
① 장비는 최소화
- 스마트폰 + 마이크만으로도 충분
- 배경은 조용한 숙소나 코워킹 스페이스
② 편집 툴
- 캄타시아, VN, 캡컷, 파이널컷, 프리미어 프로 등
- 간단한 편집도 충분히 가능
③ 자료 제작
- Canva, Google Slides로 슬라이드 제작
- 영상과 자료를 함께 제공하면 구매율이 높음
온라인 강의 마케팅 전략
강의는 만들기만 하면 팔리지 않는다.
디지털 노마드는 다음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자.방법 설명 유튜브 채널 운영 강의와 관련된 무료 콘텐츠 제공 → 유료 강의 연결 블로그·노션 운영 SEO 활용 → 강의 링크 유도 인스타그램·링크드인 일상 콘텐츠 + 강의 홍보 혼합 뉴스레터 발송 이메일 구독자를 모아 반복 홍보 수익화 사례 및 예상 수익
플랫폼 평균 수익 예시 (초기) 클래스101 월 50~300만원 인프런 월 30~500만원 유데미 월 50~2000달러 티처블 초반 0 → 점차 증가 (마케팅 필수) 플랫폼별 수수료 비교 – 어디가 가장 남을까?
온라인 강의 플랫폼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수익 배분 구조다.
같은 강의를 팔아도 플랫폼마다 가져가는 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수익금이 아니라, 실제 내 몫이 얼마인지 따져야 한다.아래는 2025년 기준 주요 플랫폼의 수익 배분 비교표다.
플랫폼 수익분배율 특징 클래스101 40~60% 강사 수익 초반 제작비 제공, 초보자 접근 쉬움 탈잉 40~60% 실시간 강의 병행 가능 인프런 55~70% (자체판매 시 90%) 기술 강의 강세 유데미 (Udemy) 자체 판매: 97%
유데미 홍보 판매: 37%글로벌 시장 접근 스킬쉐어 조회수 기반 로열티 일정 이상 조회수 되어야 수익 발생 티처블 (Teachable) 100% (결제 수수료 제외) 자체 브랜드 운영, 완전 독립 노션+검프로드 95~98% 가장 낮은 수수료, 홍보는 스스로 해야 함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상황추천 플랫폼 한국 대상 강의 클래스101, 인프런, 탈잉 글로벌 공략 유데미, 스킬쉐어 자체 브랜드 구축 티처블, 노션+검프로드 초보 디지털 노마드 강사가 실수하는 3가지
① 너무 완벽한 강의를 만들려고 한다
- 사실 강의는 100%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
- 실시간 피드백을 받아가며 업그레이드하면 된다.
② 한 번에 모든 플랫폼에 올리려고 한다
- 처음부터 여러 플랫폼에 올리면 관리가 어렵다.
- 하나의 플랫폼에서 시작하고, 반응을 본 후 확장하는 것이 좋다.
③ 가격 책정을 어렵게 생각한다
- 초반에는 가성비 좋은 가격으로 진입
- 이후 점차 가격을 올리며 고도화
- 평균 가격: 25시간 분량-> 35만원, 해외는 $30~$100
디지털 노마드의 새로운 수익 파이프라인
디지털 노마드의 강의 수익화는 “내가 아는 것을 파는 구조”다.
이는 단순한 부업이 아니라 장기적인 수익 파이프라인 구축이다.강의는 한 번 만들면
- 시간이 지나도
- 장소가 바뀌어도
- 계속해서 수익을 발생시킨다.
지금까지의 디지털 노마드 경험을 정리하고 강의 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 노마드 2.0의 수익 구조를 시작해 보자.'디지털 노마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국제 배송 서비스 활용법 (0) 2025.07.19 디지털 노마드 한국 사업자 유지하는 법 (0) 2025.07.18 디지털 노마드가 살기 좋은 유럽 소도시 추천 (1) 2025.07.17 디지털 노마드 프리랜서 계약서 작성법 (0) 2025.07.16 디지털 노마드 현지에서 클라이언트를 찾는 법 (0) 2025.07.15